빅오 표기법1 Data Structure -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1. 시간 복잡도 -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에 있어 어떤 알고리즘이 가장 빠른지 판단하기 위해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수치적으로 계산한 것이다. -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알고리즘이 복잡한 정도를 계산하는데 여기에는 시간과 공간, 2가지가 있다. 시간 복잡도 - 알고리즘의 실행 속도 공간 복잡도 -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메모리의 양/사이즈 * 현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은 시간복잡도이다. 시간복잡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c) 시간 복잡도의 핵심 요소 - 반복문 - 알고리즘 구조에서 어느 부분에서 가장 시간을 많이 소요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 입력의 크기가 커질수록 반복문의 수행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곧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을 증가시킨다. d) 시간복잡도의 표기법 종류 Big O.. 2020. 8.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