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역사2 3. 운영체제의 역사(1970년 ~ 2000년대) 1. 1970년대, UNIX OS의 등장 미국 AT&T 사의 벨 연구소 (켄 톰슨, 데니스 리치) - 데니스 리치가 C언어를 개발함 C언어로 개발된 OS C언어가 필요했던 이유 - C 언어 등장 이전 Assebly 언어로 SW를 개발했다. 어셈블리 언어의 경우 CPU 명령어와 Memory 주소를 직접 할당한다. 그러므로 컴퓨터마다 다시 개발해줘야 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프로그래밍 복잡도가 높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 C 언어 등장 이후 C 언어는 컴파일러를 통해 코드를 각 컴퓨터에 알맞는 CPU 명령어로 번역을 한다 그러므로 컴퓨터마다 코드를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다. 어셈블리 언어에 비해 프로그래밍 복잡도가 낮다. 이러한 이유로 C 언어로 작성된 OS(UNIX)가 개발되었다. UNIX의 특징 현대 운.. 2021. 3. 26. 2. 운영체제의 역사(1950년 ~ 1960년대) 1. 1950년대 - ENIAC, 첫번째 컴퓨터의 등장 - 당시에는 운영체제란 개념이 없었다. - 1개의 응용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힘들었다. - 응용 프로그램이 시스템 자원을 제어하는 형식 2. 1960년대 초기 - 배치 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의 출현 - 1950년대에 비해 비교적 프로그램의 종류도 많아지고 사용자도 많아지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생겼다. - 당시, 프로그램 1개를 실행시키려면 몇시간씩 걸렸기에 여러 프로그램을 등록시켜 놓으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스템이 필요했고 그 결과 배치 처리 시스템을 기반한 OS가 등장한다. 3. 1960년대 후반 - 새로운 개념의 등장 (OS로 구현되지는 않음) 1. 시분할 시스템 (Time-Sharing System) - 응용 .. 2021. 3.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