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rting2

11. Array(배열) - Radix Sort 0. 시작하기 전에 - Radix Sort는 Counting Sort를 기반하기 때문에, Counting Sort를 알아야 한다. - 다음 포스팅에서 Counting Sort에 대해 익히기를 바란다. https://devraphy.tistory.com/438 10. Array(배열) - Counting Sort 0. 시작하기 전에 - 지금까지 배운 알고리즘은 O(n^2) 또는 O(n 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O(n^2): bubble, insertion ▶ O(n log n): merge, quick - Counting Sort는 O(n + alpha)의 시간복잡도를.. devraphy.tistory.com 1. Radix Sort(기수 정렬) a) Radix Sort를 사용하는 이유 - .. 2021. 10. 8.
1. Array(배열) - 기본 개념 1. Array(배열) - 배열은 가장 기본적이면서,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다. a) 배열의 형태 -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을 가진 데이터의 연속적인 나열로 이루어져 있다. - 배열의 요소는 연속적인 메모리 주소를 할당받는다. - 배열은 index를 사용하여 해당 요소의 메모리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b) 배열은 정렬(Sorting)과 이어진다. - 정렬에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는데, 배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 대부분의 정렬 알고리즘은 O(n 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정렬 알고리즘은 안정적(stable)인가, 불안정적(unstable)인가로 분류된다. c) 배열은 탐색(Search)과 이어진다. - 배열을 이용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배열의 특정 요소를 찾는 경우가 있다.. 2021.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