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B1 32. 가상메모리 - 다중 단계 페이징 시스템 1. 다중단계 페이징 시스템이란? - 페이지를 4kb 단위로 설정하면, 이를 보관하는 Page table의 범위도 그만큼 넓어지게 된다. - 리눅스를 예로 들어보자면, 4GB의 메모리 영역을 갖는 프로세스에서 0~3GB의 영역이 응용 프로그램이 갖는 영역이다. - 그러나 프로세스 당 실제 실행 코드의 크기는 커봤자 10kb 정도일 것이다. 그러면 나머지 약 3GB의 영역은 사용하지 않는 비효율적인 영역이 되는데, 이만큼의 메모리 영역이 page table에도 올라가게 된다. ▶ 4kb(= 32bit)의 페이지에서 하위 12bit는 오프셋(=변위)을, 상위 20bit는 페이지 번호를 담당한다. ▶ 상위 20bit는 2의 20승으로 총 1048576개의 페이지 정보를 필요로 한다. - 이러한 메모리의 누수를.. 2021. 7.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