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notation4

5. Field(칼럼) Mapping 0. 개요 - 이전 포스팅에서 Entitty와 DB Table을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Field와 DB Column을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Annotation - Field Mapping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Annotat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a) @Column - DB 테이블의 Column을 Entity 필드로 매핑할 때 사용한다. - Enitity 변수와 Column의 이름이 다르다면, @Column의 name 속성을 이용하여 DB의 Column을 명시한다. @Entity public class User { @Column(name = "fullName") private string userName; } b) @Enumerated - Entity.. 2022. 3. 28.
13. Annotation 기반의 URL 매핑 0. 개요 - 이전 포스팅에서 Front Controller의 동작을 Annotation을 이용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가 지원하는 다양한 URL 매핑 방식 및 annotat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1. URL 매핑 형식 지원 - 백엔드에서 URL을 매핑하는 작업은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다. - 매핑 URL에 오타가 있다면 완전히 다른 주소가 되기 때문이다. @RequestMapping("/springmvc/view") @ReqeustMapping("/springmvc/view/") - 사실 "/springmvc/view"와 "/springmvc/view/"는 엄연히 다른 URL이다. - 그러나 Spring Boot에서는 위의 예시에 나온 URL을.. 2022. 3. 10.
12. Annotation 기반의 Spring MVC 0. 개요 - 직접 Front Controller를 구현했을 때를 생각해보자. - Front Controller를 시작으로 HandlerMapping, HandlerAdapter를 직접 구현했다. - 그러므로 전체적인 Front Controller의 흐름을 직접 구현했다. - Spring Boot를 사용하면 이를 직접 구현하지 않는다. - Spring Boot 내부에는 이미 모든 것이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 그렇다면 내부적으로 구현된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들을 어떻게 사용할까? - 더불어 DispatcherServlet의 내부 동작 과정에 어떻게 컨트롤러를 전달(주입)할 수 있을까? → 내부 동작 과정이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DispatcherServlet의 동작원리를 의미한다. - 그 해답은 .. 2022. 3. 9.
14. Annotation을 만드는 방법 0. 개요 - 이전 포스팅에서 Bean이 2개 이상인 경우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Qualifier를 언급했다. - 그러나 @Qualifier를 사용하면 컴파일 시 문제가 발생한다. -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어노테이션을 직접 생성하는데, 이에 대해 알아보자. 1. Annotation을 생성하는 방법 a) @Qualifier의 컴파일 시 문제점 - @Qualifier는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Qualifier("이름") - 이처럼 명시를 하는데, 문제는 이름을 표현하는 문자열(= "이름")에 있다. - 해당 문자열은 컴파일 과정에서 Bean의 타입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접 Annotation을 생성한다. b) Annotation 생성 방법 - 우선, 어노테이션 파일을 생.. 2022.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