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b3

4. DB 구조 설계 - ERD 0. 개요 - 프론트 개발을 어느정도 완료하고 이제 백엔드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 백엔드 개발의 시작을 ERD 제작으로 선정하여 ERD를 그려보았다. - ERD를 작성해보니 백엔드를 개발하면서 풀어야하는 문제점을 몇가지 발견하였다. 1. Entity 소개 - 프로젝트 SAI는 다음과 같은 Entity로 구성된다. a) User Table - User는 SAI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의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 회원 가입 시 작성한 정보가 User Table에 입력된다. - User Table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d(PK) - 자동 증감을 사용한다. email - 로그인 시 사용할 이메일 주소 / 필수 값 / 유효성 검증 필요 password - 로그인 시 사용할 비밀번호 / 필수 값 / 유효.. 2022. 6. 29.
12. 상속 관계 매핑 0. 개요 - 상속 관계는 OOP에 존재하지만, RDB에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 그러므로 JPA는 객체 간의 상속 관계를 RDB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JPA를 이용하여 상속 관계를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상속 관계 매핑 - DB를 설계할 때 관계를 논리 모델과 물리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 논리 모델: 사물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사물이 서로 어떻게 interact 하는지 표현한다. → 물리 모델: 논리 모델을 기반하여 ERD로 표현한다. a) 논리 모델 구현 - 슈퍼 타입, 서브 타입 - 상속 관계를 RDB로 구현할 때 우선 논리 모델을 구현한다. - 이때 논리 모델의 슈퍼/서브 타입을 사용하여 객체의 상속 관계를 유사하게 표현할.. 2022. 4. 6.
6. Primary key(기본 키) Mapping 0. 개요 - 이전 포스팅에서 Field와 Column을 매핑하는 방법을 배웠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DB에 존재하는 기본 키(= Primary key, PK)를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워보자. 1. Annotation - PK 매핑에 필요한 Annotation을 알아보자. a) @Id - DB의 PK를 명시하기 위해서, Entity의 field에 @Id를 부착한다. - @Id는 PK의 값을 직접 할당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name") private String username; } b) @GeneratedValue - PK의 값을 직접 할당하지 않고 DB에게 값 할당의 권한을 넘기.. 2022.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