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ode3

37. 시스템 프로그래밍 - 파일시스템 관련 시스템 콜 0. 시작하기전에 -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시스템 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1. inode 파일 시스템 - 리눅스는 inode라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다. - 이 파일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은 inode의 구조체를 이해하는 것이다. - 다음 사진에서 빨간색 네모로 표시된 inode의 구조체를 살펴보자. - 프로세스는 pid로 구분되고,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pcb를 가지고 있다. - 이처럼 파일도 inode번호로 구분되고, 각 inode번호에 대응하는 구조체를 갖고 있다. ▶ Mode - 파일 종류, 권한 ▶ Owner Info - 소유자, 소유 그룹 ▶ Size - 파일의 사이즈 ▶ Timestamps - 파일의 생성, 수정 등의 시간정보 ▶ Direct Bl.. 2021. 9. 27.
11. shell - 리눅스 파일 시스템 1. 파일 시스템이란? - 이전에 운영체제 포스팅에서 파일 시스템에 배운적이 있다. - 우선 파일 시스템이 무엇인지 복습을 해보자. - 파일과 관련된 대표적인 명령어 4가지 (open, read, write, close)가 있다. - 일반적으로 파일을 읽고(read) 쓰기(write)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하지만, 네트워크의 입장에서 파일을 읽고 쓴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 이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읽거나, 다른 서버로 데이터를 입력(쓰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외부장치도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과정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한다. ex) CD, USB,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etc. - 이와 같은 이유로, 각 장치에 따른 별도의 인터.. 2021. 9. 9.
37. 파일 시스템 - inode 방식과 가상 파일시스템 1. inode 파일 시스템 - inode 방식의 파일 시스템은 다음 세가지의 블럭을 갖고 있다. ▶ 슈퍼 블록: 파일 시스템의 전체 정보를 가진 블록 ▶ 아이노드 블록: 각 파일의 상세 정보를 가진 블록 ▶ 데이터 블록(= 디스크 블록): 실제 데이터를 가진 블록 a) 슈퍼 블록 - 슈퍼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와 파티션 정보를 갖고 있다. - df라는 리눅스 명령어는 슈퍼블록의 정보를 받아오는 명령이다. - 해당 명령어를 이용하여 터미널에서 위의 사진과 같은 파일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받아 올 수 있다. b) inode와 파일의 관계 - 각 파일은 inode의 번호를 할당 받는다. ▶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프로세스ID를 할당 받는 것 처럼, 파일도 생성과 함께 inode 번호를 할당 받는다... 2021.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