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PI15

17. Response 처리방법 0. 개요 - 이전 포스팅까지 HTTP Request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요청을 GET 방식과 POST 방식으로 나누어 각각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 Response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보자. 1. HTTP Response의 종류 - HTTP Request에는 3가지 방식이 존재했다. → GET 방식을 사용한 URL parameter 전달 → 태그를 이용한 POST 방식의 URL parameter 전달 → POST 방식을 사용한 Request body를 전달 - 이와 마찬가지로 HTTP Response 또한 3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 정적 리소스를 응답하는 방식 → 동적 리소스(= view template)를 응답하는 방식 → HTTP 메시지.. 2022. 3. 17.
15. 시스템 프로그래밍 핵심개념 1. 시스템 프로그래밍 기반요소 - 리눅스의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크게 3가지를 기반으로 두고 있다. ▶ 시스템 콜(System call) - 운영체제를 사용자 영역에서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커널영역을 시스템 콜을 이용해 조작할 수 있다. - 리눅스의 시스템 콜은 C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 C 라이브러리 - 여러가지 기능을 묶어놓은 것을 라이브러리라고 한다. - 시스템 콜도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된다. - 라이브러리를 API라고 말하기도 한다. ▶ C 컴파일러 - 리눅스는 C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 C언어는 컴파일러를 필요로 하는 언어다. - 그러므로 C 컴파일러는 필수다. 2. System call a) 시스템 콜 - 운영체제 파트에서 깊이있게 배운 개념이므로 간략하게 알.. 2021. 9. 10.
Vue3 - 영화 검색 사이트 1. 개요 - Vue 공부를 위한 클론 코딩 - 본 프로젝트는 패스트캠퍼스의 프론트엔드 초격차 패키지의 Vue 파트 강의 내용을 따라 만든 것입니다. 2. 사이트 소개 https://silly-banach-bd5250.netlify.app/#/ Hello Vue Project! silly-banach-bd5250.netlify.app - OMDbAPI를 사용하여 영화 검색 사이트 기능 구현 - Vue3를 사용하여 프론트 작업 진행 3. 사용기술 Vue3 BootStrap Webpack ESLint 4. Github https://github.com/devraphy/vue3-movie-app GitHub - devraphy/vue3-movie-app: movie app made of Vue 3 movie .. 2021. 6. 22.
4.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컴퓨터 하드웨어의 관계 1.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컴퓨터 하드웨어의 관계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컴퓨터 하드웨어를 도서관에 비유해보자. 운영체제 = 도서관 응용 프로그램 = 시민 하드웨어 = 책 그렇다면 운영체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시민은 도서관에서 원하는 책(자원)을 요청한다. 도서관은 요청된 책을 시민에게 빌려준다 대여기간이 다 되면, 도서관이 해당 책을 회수한다. 이 비유는 실제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컴퓨터 하드웨어의 관계를 잘 표현한다. OS는 Application이 요청하는 메모리를 허가 및 분배한다. OS는 Application이 요청하는 CPU 시간(하드웨어)을 제공한다. Application 실행이 완료 및 종료되면, OS는 대여된 메모리와 하드웨어를 회수한다. 2. 쉘(shell)이란? 운영체제의.. 2021. 3. 26.
JS 근본 공부 - 배열 API 연습문제 1. 배열 API 연습문제 - 배열을 사용할 때 함께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API를 연습해보자. [연습문제] "use strict"; // Q1. make a string out of an array { const fruits = ["apple", "banana", "orange"]; fruits.join(); } // Q2. make an array out of a string { const fruits = "🍎, 🥝, 🍌, 🍒"; const result = fruits.split(","); } // Q3. make this array look like this: [5, 4, 3, 2, 1] { const array = [1, 2, 3, 4, 5]; } // Q4. make new array with.. 2020. 11. 3.
JS 근본 공부 - 배열(Array) - 배열은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다. - 배열의 개념과 활용방법을 익혀보자. 1. 배열은 무엇인가? - 배열이란 자료구조 중 하나로 여러개의 데이터를 묶어서 저장하는 방식이다. - 일반적으로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 끼리만 묶어 저장할 수 있지만, JavaScript에서는 자료형과 상관없이 데이터를 배열에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사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2. 자료구조와 object는 무엇이 다른가? - object는 연관된 속성과 행동이 모여서 하나의 존재를 이룬다. -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저장 및 정렬하는 형식/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3. 배열의 특징 -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 저장된 데이터는 index가 부여.. 2020.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