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ing sort1 10. Array(배열) - Counting Sort 0. 시작하기 전에 - 지금까지 배운 알고리즘은 O(n^2) 또는 O(n log 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 O(n^2): bubble, insertion ▶ O(n log n): merge, quick - Counting Sort는 O(n + k)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 - Counting Sort를 이해하며 k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1. Counting Sort(계수정렬) - Counting Sort는 주어진 array의 요소를 counting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a) Counting Sort의 정렬과정 2. 코드 구현 - 위에서 진행한 과정을 코드로 그대로 구현하면 Counting Sort 알고리즘이 완성된다. - 다음 코드를 확인해보자. from typing import List.. 2021. 10.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