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02

14. 프로세스 구조(2) - Stack - 이전 포스팅에서 배운 프로세스 구조에 대해 복습해보자. 프로세스 구조 text(= code): 소스코드가 올라가는 영역 data: 전역변수, 초기화된 데이터가 올라가는 영역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소멸) stack(= stack frame): 임시 데이터(함수 호출, 로컬변수 등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 heap: 코드에서 동적으로 만들어지는 데이터 (동적 메모리 할당 - 개발자가 직접 할당) 1. 스택에 대한 이해 프로세스에 대한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부분 중 하나는 Stack 자료구조다. 스택은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 중 하나로, 복잡한 함수 호출과정을 효과적으로 처리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스택의 특징은 LIFO(= Last In, First Out)인데, 데이터가 밑.. 2021. 4. 13.
오늘의 알고리즘 (4월 13일) 1. 백준, 수 찾기, 1920번 www.acmicpc.net/problem/1920 1920번: 수 찾기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 www.acmicpc.net 2. 생각해보자 첫 입력값은 숫자의 개수 N이 주어진다. 두번째 입력값에는 N개의 숫자만큼 정수가 주어진다. 세번째 입력값에는 찾을 숫자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네번째 입력값에는 M개의 숫자만큼 정수가 주어진다. - 배열 두개를 만들어서 이중 for문을 돌려서 비교하면 될 것 같다. n = int(input()) sample = .. 2021. 4. 13.
오늘의 알고리즘 (4월 9일) 1. 백준, SHA-256, 10930번 www.acmicpc.net/problem/10930 10930번: SHA-256 첫째 줄에 문자열 S가 주어진다. S는 알파벳 대문자와 소문자, 그리고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최대 50이다. www.acmicpc.net 2. 생각해보자 이번 문제는 쉬어가는 문제다. 해시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기만 하면 풀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3. 풀이 및 코드분석 해시 함수는 암호화 작업이다. 어떤 문자를 넣었을 때, 해당 문자를 굉장히 긴 길이의 문자열로 변환시켜준다. SHA-256 는 여러 해시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효율적(=빠름)이고 안정적인 해시 함수라고 할 수 있다. SHA-256을 안정적인 이유중 하나가 단방향성 암.. 2021. 4. 9.
13. 프로세스 구조(1) 프로세스와 컨텍스트 스위칭 스케줄러에 의해 어떤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바뀌는 과정을 컨텍스트 스위칭이라고 한다. 이 컨텍스트 스위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지금부터 프로세스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프로세스 구조 - 먼저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def func(a, b): return print(a+b) c = 0 c = func(1,2) print(c) 이 코드가 실행되면 컴파일이라는 단계를 거친다. 컴파일은 기계어 또는 바이너리라는 0과 1로 된 언어로써,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 프로세스가 실행된다는 것은 코드가 컴파일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 그렇다면 컴파일된 코드는 어디로 가는.. 2021. 4. 9.
오늘의 알고리즘(4월 8일) 1. 백준, 5397, 키로거 www.acmicpc.net/problem/5397 5397번: 키로거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줄로 이루어져 있고, 강산이가 입력한 순서대로 길이가 L인 문자열이 주어진다. (1 ≤ L의 길이 ≤ 1,000,000) 강산이가 백스페이 www.acmicpc.net 2. 생각해보자 a) 문제 정보 첫줄은 테스트케이스의 개수다. 백스페이스는 - 로 표현한다. 화살표는 로 커서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나머지 문자는 비밀번호다. b) 어떻게 풀 수 있을까? 테스트 케이스를 하나의 배열에 담는다. 비밀번호를 기록하기 위한 배열을 하나 더 만든다. 비밀번호 배열의 길이가 0일 때, 테스트케이스 배열에서 방향키가 나오면 아무런 영향이 없다. 다음 .. 2021. 4. 8.
12. 인터럽트 동작방식 1. 시스템 콜 인터럽트의 작동과정 a) 시스템 콜 인터럽트 시스템 콜을 실행하기 위해서 강제로 코드에 인터럽트 명령을 넣어 CPU에게 실행을 시킨다 - 시스템 콜: 커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OS 명령어 b) 실제 시스템 콜 코드 eax 레지스터에 시스템 콜 번호를 넣는다. ebx 레지스터에 시스템 콜에 해당하는 인자값(=매개변수)를 넣는다.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명령을 호출하면서 0x80값을 넘겨준다. mov eax, 1 //시스템 콜 번호 = 1 mov ebx, 0 //인자 = 0 int 0x80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명령어(= 인터럽트 함수가 담겨있는 주소를 찾기위한 값) c) 시스템 콜 코드를 받고 난 이후 과정 CPU는 사용자모드를 커널모드로 전환한다. IDT(Interrupt Descript.. 2021. 4. 8.
오늘의 알고리즘(4월 7일) 1. 백준, 프린터 큐, 1966번 www.acmicpc.net/problem/1966 1966번: 프린터 큐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www.acmicpc.net 2. 생각해보자 - 문제부터 이해 해보자. 첫번째 예시 3 1 0 5 최초의 입력은 총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3개의 테스트 케이스가 있다는 뜻이다. 두번째 줄의 1은 총 문서의 개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총 1개의 문서가 있다는 뜻이다. 두번째 줄의 0은 현재 찾고 있는 문서가 몇번 인덱스에 위치했는지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0번 인덱스에 있다. 세번째 줄의 .. 2021. 4. 7.
11. 인터럽트의 종류 1. 대표적인 interrupt의 종류 a) 프로그램 또는 코드상의 예외 발생으로 인한 interrupt 위의 코드를 보면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부분은 1을 0으로 나누는 부분이다. 0으로 1을 나눌 수 없기 때문에, 이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인터럽트를 통해 예외가 발생했음을 운영체제(OS)에게 알리고 이를 알맞게 처리하게 된다. b) 타이머 interrupt - 선점형 스케줄러 또는 시분할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일정 시간마다 interrupt를 발생시켜 OS에게 알린다. c) 입출력(I/O) 장치 사용을 위한 interrupt 프로그램 실행 중 기타 장치 사용을 위해 발생되는 인터럽트를 말한다. 프린터, 키보드, 마우스, 저장매체 등이 존재한다. 2. Interrupt 구분 a) 내부 interrupt.. 2021. 4. 7.
10. 인터럽트란? 1. 개념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어떤 이벤트(하드웨어 또는 예외처리 등)가 발생하여 이를 운영체제(OS)에게 알리고 CPU에서 처리하는 기술 2. 인터럽트가 필요한 이유 a) 선점형 스케줄러 선점형 스케줄러에서는 프로세스를 교체하기 위해서 현재 running 상태의 프로세스를 중단시킨다.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중지시키는 기능 b) I/O 장치와의 커뮤니케이션 입력장치 또는 저장매체에서의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 경우, wait(=block)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를 깨워 ready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끔 운영체제(OS)에게 알려주는 기능 c) 예외상황 처리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프로그램 상의 에러나, 하드웨어 상의 문제 등 예외상황이 발생하면 운영체제(OS)가 이를 처리.. 2021. 4. 6.